풍접초(風蝶草)와 칸나(구리 시민공원에서...)
풍접초(風蝶草) 풍접초(風蝶草) 풍접초는 풍접초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랍니다. 서인도제도, 멕시코, 베네주엘라 등이 원산지로 지구상에 약 150여종이 분포하고 있다. 학명은 Cleome Spinoza라 하며, 영어로는 꽃의 수술이 거미줄처럼 늘어졌다 하여 Spiderflower라 부른다.
예전 새색시가 쓰던 족두리 같다하여 족두리꽃, 북한에서는 나비꽃 이라고도 부르며 백화채, 양각채 라고도 하는데 정식이름은 나비가 날아다니는 것과 같다고 해서 붙은 나비접자가 붙은 풍접초 (Spiny Spiderflower, 風蝶草)입니다.
칸나(Common Garden Canna) 칸나(Common Garden Canna) 칸나(Common Garden Canna)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홍초목 홍초과 학명Canna generalis Bailey분포아프리카, 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서식열대지역크기약 1.0m~2.0m 꽃말 행복한 종말, 존경
칸나는 홍초과에 속하는 약 500여 종(種)의 다년생초로서, 비늘줄기성 식물로 서인도제도와 중앙 아메리카의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자생한다.
칸나 인디카(C.indica)를 비롯하여 100종 이상의 원예품종이 있으며 온대지방의 온실, 열대지방의 정원에서 흔히 재배되고 있다 빨간색·노란색·보라색·오렌지색·흰색 등의 꽃은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암술과 수술이 있는 양성화로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잎과 꽃받침 잎은 3장이다.
관상용의 원예품종 칸나는 종간교배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대부분 씨를 맺지 못한다. 칸나는 내한성(耐寒性)이 약하지만 양지바르고 배수가 좋으면 잘 자라고 공해에도 강하다. 5℃ 이하에서는 생육이 중지되며 0℃이하이면 얼어죽는다고 알려져 있다. 불교국가에서는 칸나를 신성시하게 여긴다. 악마가 석가모니를 시기해서 해꼬지 하려고 돌을 굴렸는데 그 돌이 석가모니 다리에 맞아 부서지고 석가모니의 다리에 피가 흘렀으며, 그 피에서 칸나꽃이 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태국이나 인도네시아나 인도 등지의 사원에 가면 제단에 칸나꽃이 꼭 올라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