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한시
影(영) 그림자
무너미
2013. 9. 7. 06:00
[가슴으로 읽는 한시] 그림자
影(영) 그림자
倐去忽來每夜因(숙거홀래매야인) 훌쩍 갔다 문득 오며 밤마다 나타나고 非仙非鬼又非人(비선비귀우비인) 신선도 귀신도 아니고 또 사람도 아니네. 隔簾無語渾難接(격렴무어혼난접) 주렴 너머 말이 없으면 알아보기 어렵지만 得月相隨故欲親(득월상수고욕친) 달이 뜨면 뒤를 따라 절친한 척 다가오네. 怳惚初疑燈下客(황홀초의등하객) 등불 아래 손님인가 황홀하게 의심하고 依稀還作水中身(의희환작수중신) 물에 비친 나인 듯이 어슴푸레 보이네. 子虛蹤跡尋無處(자허종적심무처) 헛것의 종적이라 찾으면 간데없어 更向梅窓問假眞(갱향매창문가진) 매화 핀 창가에서 진실을 물어본다.
―홍한주(洪翰周·1798~1868)
19세기 문인 해옹(海翁) 홍한주가 온갖 사물을 읊은 연작시의 하나이다. 전기가 없던 시절에는 낮이고 밤이고 그림자가 자신을 따라다녔다. 그림자는 늘 나란 존재를 자신에게 각인시켜주는 또 다른 나였다. 내 그림자에 부끄럽지 않게 살고자 애쓸 수도 있었고, 외로울 때면 내 그림자를 향해 삶을 물어볼 수도 있었다. 불빛이 휘황하여 그림자가 내 뒤를 따르는지조차 인식하지 못하며 사는 시대이다. 그림자에 대한 의문을 품을 수 있는 옛 시인이 오히려 행복해 보인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