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우리노래

황성옛터-이애리수(1932)

무너미 2014. 9. 29. 23:08

  

 

 

 


 

 

황성옛터 /이애리수
 

황성옛터에 밤이 드니 월색만 고요해
폐허에 서린 회포를 말하여 주노라
아 가엽다 이내 몸은 그 무엇 찾으려고
끝없는 꿈의 거리를 헤메여 있노라

성은 허물어져 빈터인데 방초만 푸르러
세상이 허무한 것을 말하여주노라
아 외로운 저 나그네 홀로 잠못이루어
구슬픈 벌레소리에 말없이 눈물져요

나는 가리로다 끌이 없이 이 발길 닿는 곳
산을 넘고 물을 건너서 정처가 없어도
아 괴로운 이 심사를 가슴 깊이 묻어놓고
이 몸은 흘러서 가노니 옛터야 잘 있거라

 

 

4c9f76aa6f531.jpg


 

 

 느린 3박자의 리듬에 단음계로 작곡된 한국 최초의 가요곡.
1932년 최초의 취입레코드 라벨에 인쇄되었던 곡명은 <황성의 적(跡)>이었다.

영천출신의 시인 왕평(王平)이 노랫말을 짓고, 개성출신의 작곡가
전수린(全壽麟)이 곡을 붙이고, 배우가수 이애리수(李愛利秀)가 애잔하게 부른
황성옛터’는 지금도 사랑받는‘민족가요’이다.

전수린이 1928년 고향 송도(松都)에서 고려의 옛 궁터를 보고
역사의 무상함을 느껴 즉흥적으로 작곡하였다.
전수린의 첫 작품으로 신파극단 취성좌(聚聖座)의 서울 단성사(團成社) 공연 때
여배우 이애리수가 막간무대에 등장하여 이 노래를 불러 크게 유행하였다.

서울 단성사에서 이애리수가 이 노래를 부르자 관중들은 열광했고,
노래는 순식간에 장안에 퍼져나갔다. 日警은 “중지하라!”악을 썼지만,
32년도‘황성옛터’는 레코드에 담겨 전국적으로 불티나게 팔렸다.

 

 

 

이애리수2.jpg

 

 

이애리수1.jpg

 

 

남인수- 황성옛터

 

 

 

 

▣ 1959년의 문화영화에 실린 남인수 선생의 황성옛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