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인연/별도자료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무너미 2015. 6. 29. 22:20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 머리말 제1절 매화 1. 매화 - 들어가는 말 2. 매화의 상징 (1) 매화와 봄소식 (2) 매화와 희망·회춘 (3) 매화와 선비정신·군자·절개 (4) 매화와 순결한 미녀 (5) 매화와 애정의 주물(呪物) (6) 매화와 똥 3. 매화와 민속 4. 매화와 문학 (1) 매화의 미(美) (2) 매화와 봄의 전령 (3) 매화와 눈·달 (4) 매화의 향기 (5) 매화의 선비정신과 절개 5. 매화의 설화 (1) 임포(林逋)의 매처학자(梅妻鶴子) (2) 조조(曹操)의 매림지갈(梅林止渴) (3) 한강(寒岡)의 백매원(百梅園) (4) 단원(檀園)의 매화음(梅花飮) (5) 대원군의 호매전(護梅錢) (6) 매화와 휘파람새 제2절 복숭아꽃 1. 복숭아꽃 - 들어가는 말 2. 복숭아꽃의 상징 (1) 복숭아꽃과 연명장수 (2) 복숭아꽃과 벽사 (3) 선경과 낙원의 복숭아꽃 (4) 복숭아꽃과 고향 (5) 복숭아꽃과 미인 (6) 변절자와 비천자의 복숭아꽃 (7) 여근(女根)과 색정(色情)의 복숭아꽃 3. 복숭아꽃과 민속 (1) 복숭아꽃과 축귀(逐鬼) (2) 복숭아꽃과 질병의 치료와 예방 (3) 복숭아의 사용 금지 (4) 복숭아나무의 식재 의기(宜忌) (5) 복숭아꽃과 음력(陰力)의 강화 (6) 무구(巫具)의 재료로 사용된 복숭아꽃 (7) 복숭아꽃의 약용 4. 복숭아꽃과 문학 (1) 복숭아꽃과 서경(敍景) (2) 복숭아꽃과 염정(艶情) (3) 복숭아꽃과 도원(桃源) (4) 복숭아꽃과 장수(長壽) 5. 복숭아꽃의 설화 (1) 복숭아꽃과 선도성모(仙桃聖母) (2) 복숭아꽃과 허황후와 반도(蟠桃) (3) 복숭아꽃과 도화녀(桃花女) (4) 복숭아꽃과 길대부인의 태몽 (5) 복숭아꽃과 화장산의 전설 (6) 복사골 (7) 복숭아가 지상에 보급된 내력 제3절 살구꽃 1. 살구꽃 - 들어가는 말 2. 살구꽃의 상징 (1) 살구꽃과 고향 (2) 살구꽃은 등용의 상징 (3) 살구꽃과 술집 (4) 살구꽃과 소인(小人) (5) 살구꽃과 기생 3. 살구꽃과 민속 (1) 살구꽃은 농사의 지표 (2) 살구꽃은 술집의 표지 (3) 살구꽃의 신비한 힘 (4) 살구꽃의 약용 4. 살구꽃과 문학 (1) 살구꽃과 서경(敍景) (2) 살구꽃과 행화촌 (3) 살구꽃과 자장가 (4) 살구꽃의 민요와 속담 5. 살구꽃의 설화 (1) 살구꽃과 행림(杏林) (2) 살구꽃과 행단(杏檀) 제4절 진달래 1. 진달래 - 들어가는 말 2. 진달래의 상징 (1) 진달래와 한국인의 얼 (2) 진달래와 봄, 강한 생명력 (3) 진달래와 사향회구(思鄕懷舊) (4) 진달래와 수줍은 새색시, 한 많은 여인 3. 진달래와 민속 (1) 진달래꽃 꺾기 (2) 진달래 꽃무덤 (3) 진달래 화전과 두견주 (4) 진달래꽃 싸움 4. 진달래와 문학 (1) 진달래와 아름다움·서경 (2) 진달래와 탈속(脫俗) (3) 두견새와 진달래 (4) 정한 - 소월의 〈진달래 꽃〉 5. 진달래의 설화 (1) 두견화의 내력 (2) 자청비의 시름을 잊는 꽃, 진달래 (3) 연달산의 참꽃과 개꽃 (4) 나무꾼과 진달래 (5) 차오산과 진달래의 신시(神詩) (6) 주왕산의 수달래 제5절 모란 1. 모란 - 들어가는 말 2. 모란의 상징 (1) 모란은 화중왕(花中王) (2) 모란과 부귀 (3) 모란과 미인 3. 모란과 민속 (1) 모란무늬 용품 (2) 모란꽃의 변색법 (3) 모란의 약용 (4) 모란에 대한 감상 4. 모란과 문학 5. 모란과 설화 (1) 모란과 선덕여왕 (2) 설총의 〈화왕계〉 (3) 이시백과 모란 (4) 모란꽃잎에 이름이 새겨진 꿈 (5) 미륵과 석가의 모란꽃 피우기 시합 (6) 측천무후와 낙양홍 (7) 한상(韓湘)의 모란 제6절 동백 1. 동백 - 들어가는 말 2. 동백꽃의 상징 (1) 청렴과 절조의 동백꽃 (2) 신성과 번영의 동백꽃 (3) 동백꽃과 다자다남(多子多男) (4) 동백꽃의 불길(不吉)한 상징 3. 동백꽃과 민속 (1) 당목(堂木)과 신당 (2) 흉풍과 길흉의 예보 (3) 초혼(招魂)의 제구(祭具) (4) 동백꽃 식재의 기피 (5) 동백꽃 목욕 (6) 동백꽃과 동백의 용도 4. 동백꽃과 문학 5. 동백꽃의 설화 (1) 선운산의 동백 (2) 오동도의 동백 (3) 마량리의 동백나무 숲 (4) 대청도의 동백나무 숲 (5) 동백나무 목침 제7절 국화 1. 국화 - 들어가는 말 2. 국화의 상징 (1) 국화와 군자·은자 (2) 인고(忍苦)와 절개의 국화 (3) 불로장수의 상징, 국화 (4) 국화와 일본의 왕실 문장 3. 국화와 민속 (1) 국화와 중양절 (2) 국화의 식용·약용 (3) 국화와 국침(菊枕) (4) 창호지의 국화 문양 4. 국화와 문학 (1) 국화의 인고(忍苦)와 지조(志操) (2) 국화와 열사·은사·군자 (3) 국화와 야국(野菊) (4) 국화와 술 5. 국화의 설화 (1) 국화와 감곡(甘谷) (2) 국화와 중양연(重陽宴) (3) 국화와 국자동(菊慈童) 제8절 연 1. 연 - 들어가는 말 2. 연의 상징 (1) 불교와 연꽃 (2) 연의 청정무구(淸淨無垢) (3) 연과 군자 (4) 환생과 재생의 상징, 연 (5) 강한 생명력의 연 (6) 연과 다자다복(多子多福) (7) 연과 남녀간의 애정 3. 연과 민속 (1) 연과 관련회(觀蓮會) (2) 연화대(蓮花臺) (3) 연의 우란분(于蘭盆) (4) 연등 (5) 연의 식용·약용 (6) 연잎의 이용 (7) 연 모양의 용품 4. 연과 문학 (1) 연은 군자의 상징 (2) 연꽃의 풍정 (3) 연과 채련곡(採蓮曲) 5. 연의 도상 (1) 연화좌(蓮華坐) (2) 관세음보살이 지닌 연꽃 (3) 하선고(何仙姑)의 문장(紋章) 6. 연의 일화·설화 (1) 연과 숭례문 밖의 남지 (2) 연과 해주의 부용당 (3) 윤선도와 연꽃 (4) 연과 상주 공갈못 제9절 난초 1. 난초 - 들어가는 말 2. 난초의 상징 (1) 난초와 군자, 고아한 선비 (2) 난초와 우정 (3) 난초와 귀녀 (4) 난초와 자손 번창 (5) 난초의 태몽 - 비범한 인물의 출생 3. 난초와 민속 (1) 난초 그림자의 감상 (2) 난초와 벽사 4. 난초와 문학 (1) 난초의 청초·고고 (2) 난초의 그윽한 향기 5. 난초의 설화 (1) 아유타국 공주와 난초로 만든 음료수 (2) 난초와 지리산의 마야고 제10절 봉선화 1. 봉선화 - 들어가는 말 2. 봉선화의 상징 (1) 한국 소녀의 넋을 상징하는 봉선화 (2) 한민족의 설움과 불굴의 정신을 상징하는 봉선화 (3) 봉선화와 신경질 3. 봉선화와 민속 (1) 봉선화와 벽사(辟邪) (2) 손톱에 봉선화물 들이기 (3) 봉선화의 약용 4. 봉선화와 문학 5. 봉선화의 설화·일화 (1) 봉선이와 봉선화 (2) 결백한 아내의 넋, 봉선화 (3) 충선왕과 봉선화 (4) 가곡 〈봉선화〉 제11절 무궁화 1. 무궁화의 연혁 2. 무궁화가 국화(國花)로 된 경위 3. 무궁화의 국화(國花)로서의 적정성 시비 4. 무궁화의 상징 (1) 한반도·대한민국의 상징, 무궁화 (2) 무궁화는 민족의 얼 (3) 무궁화의 일편단심 (4) 무궁화의 무궁(無窮) (5) 무궁화와 생애의 단명·허무 (6) 무궁화와 미인 5. 무궁화와 민속 (1) 무궁화와 생울타리 (2) 무궁화의 약용·식용 6. 무궁화와 문학 7. 무궁화와 회화 8. 무궁화의 설화 (1) 접시꽃이 된 무궁화 (2) 울타리꽃이 된 무궁화 제12절 소나무 1. 소나무 - 들어가는 말 2. 소나무의 상징 (1) 소나무와 백목(百木)의 장 (2) 소나무와 장수(長壽) (3) 소나무와 절개·지조 (4) 소나무와 탈속(脫俗) (5) 소나무와 길조(吉兆)·번성 (6) 소나무의 신이(神異)함 (7) 소나무와 부부애 (8) 소나무는 민족의 기상 3. 소나무와 민속 (1) 소나무와 동신목(洞神木) (2) 소나무와 벽사·정화 (3) 소나무의 약용·식용 (4) 소나무잎의 송첨 4. 소나무와 문학 (1) 소나무의 풍치 (2) 소나무와 송월(松月) (3) 소나무와 송학(松鶴) (4) 소나무의 송화(松花) (5) 소나무의 송풍(松風) (6) 소나무와 탈속 (7) 소나무와 절조·충절 (8) 소나무와 통속(通俗) 5. 소나무와 회화 (1) 고구려 고분벽화 속의 소나무 (2) 솔거(率居)의 〈노송도〉 (3) 고려시대의 소나무 그림 (4) 소나무와 세한도(歲寒圖) (5) 조선시대의 소나무 그림 (6) 소나무와 장생(長生)을 상징하는 그림 (7) 소나무와 일월오악도 6. 소나무의 설화 (1) 성주신과 소나무 (2) 삼장법사의 신비한 소나무 (3) 위계(位階)가 주어진 나무, 소나무 (4) 황형이 소나무를 심은 뜻 (5) 정인홍의 소나무 시 (6) 수원 북문 밖 소나무 (7) 예천의 석송령 (8) 소나무와 십팔공(十八公) (9) 영월의 관음송 (10) 함흥본궁(咸興本宮)의 소나무 (11) 송식(松食)한 사람들의 이야기 제13절 대나무 1. 대나무 - 들어가는 말 2. 대나무의 상징 (1) 대나무와 군자 (2) 대나무와 지조·절개 (3) 대나무와 단결심·의협심 (4) 대나무의 신성, 신의 강림처 (5) 대나무와 평안 (6) 죽림 - 현사의 은거지 3. 대나무와 민속 (1) 액막이(除厄)·신성성의 표지, 대나무 (2) 대나무와 신대[神竿] (3) 대나무의 죽실 (4) 대나무의 죽순 (5) 대나무와 죽취일(竹醉日) (6) 대나무의 약용·식용 (7) 대나무로 만들어지는 죽제품 4. 대나무와 문학 (1) 대나무의 덕 (2) 대나무의 풍치 (3) 대나무와 절의 (4) 대나무와 속담 5. 대나무의 설화 (1) 죽엽군(竹葉軍) (2) 만파식적(萬波息笛) (3) 선석사(禪石寺)의 쌍곡죽(雙谷竹) (4) 죽통미녀(竹筒美女) (5) 죽죽(竹竹) (6) 임금님의 귀 (7) 맹종(孟宗)의 읍죽(泣竹) (8) 죽림칠현(竹林七賢) (9) 소동파의 대나무 그림 (10) 소상반죽(瀟湘斑竹) (11) 삽죽쇄염(揷竹灑鹽) 제14절 버드나무 1. 버드나무 - 들어가는 말 2. 버드나무의 상징 (1) 버드나무는 봄을 알리는 나무 (2) 버드나무의 강인한 생명력 (3) 버드나무와 아름다운 여인 (4) 버드나무와 춘정(春情) (5) 버드나무와 대자대비(大慈大悲) (6) 버드나무와 이별 (7) 버드나무와 향수 3. 버드나무와 민속 (1) 버드나무와 벽사 (2) 버드나무와 절류지(折柳枝) (3) 기우제와 버들가지 (4) 청명일과 버드나무 (5) 버드나무의 식재 (6) 왕버들과 도깨비 (7) 버드나무 노거수 (8) 버드나무와 소양제(消陽劑) (9) 버드나무로 만들어지는 유제품(柳製品) 4. 버드나무와 문학 (1) 버드나무와 서경 (2) 버들개지 (3) 버드나무와 이별 5. 버드나무의 설화 (1) 혜통강룡(惠通降龍) (2) 왕건과 유씨(柳氏)부인 (3) 버드나무와 아기장사 (4) 천안삼거리의 능수버들 (5) 수양제의 버드나무 식수 (6) 오류선생(五柳先生) 주요 참고문헌 저자소개 -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정보 제공처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주)넥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