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동시
혼자서 집 보는 날
무너미
2016. 3. 2. 17:32
[가슴으로 읽는 동시] 혼자서 집 보는 날
혼자서 집 보는 날
또옥 또옥 또옥
몰랐다
물방울 소리가 이렇게 큰 줄을
뻐꾹 뻐꾹 뻐꾹
몰랐다
하루 시간이 이렇게 긴 줄을
한 시, 두 시, 세 시 넘어도
식구들은 아무도 오지 않고
혼자서 집 보는 날
몰랐다
우리 집이 이렇게 넓은 줄을
―오인태 (1962~ )
▲일러스트 : 이철원
집은 가족의 웃음소리, 아이들 떠드는 소리, 강아지 짖는 소리로 가득해야 비로소 포근하고 사랑스러운 '우리 집'이 된다. 밥 짓는 냄새, 찌개 끓이는 냄새, 엄마 냄새로 가득해야 비로소 정겹고 따스한 '우리 집'이 된다. 가족이 없는 텅 빈 집은 남의 집처럼 낯설고 을씨년스러울 뿐이다.
혼자 집 보는 날 아이에게는 작은 물방울 소리도 오싹 무서울 정도로 크게 들린다. 가족으로 가득할 때는 좁게만 느껴지던 집도 을씨년스럽게 넓게만 느껴진다. 시간도 멈춘 듯 더디 가고 하루가 길기만 하다. 가족이 없는 집은 아이에겐 남의 집 같고 텅 빈 집만 같다. 혼자서 집 보는 날 아이가 새삼 깨달은 것은 함께 있을 때는 몰랐던 가족의 소중함이다.
이준관 아동문학가
[출처] 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