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시조
삐비꽃 봉분
무너미
2016. 5. 13. 06:55
[가슴으로 읽는 시조] 삐비꽃 봉분
삐비꽃 봉분
애써 몸 세우려고
기대서지 않았다
단물 다 내어주고
심지까지 다 뽑히고
밟히고 베이면서도
산기슭 지켜왔다
바람에 맞서지도
피하지도 아니하고
찬 이슬로 꽃을 피워
윤슬처럼 반짝이며
은발로 다녀가시는
울 어머니, 하얀 꽃
―유헌(1957~ )
▲일러스트 : 이철원
삐비순은 추억의 먹거리다. 삐비꽃 어린 순이 나올 때면 그것을 쏘옥 뽑아 잘근잘근 씹고는 했다. 어린 순들이 그렇듯 조금은 비릿하면서도 달달한 물이 나왔다. 시골 아이들은 거개가 그 삐비순을 찾아 언덕이나 냇가 둑쯤 뒤져봤을 것이다. 뾰족뾰족 순도 예쁘게 솟지만 아이들 손 타지 않은 순이 꽃을 피우면 한동안 은물결이 곱다. 나직한 풀꽃들이 신록 사이 은빛 파동을 나른히 나르는 것이다.
그런 중에 삐비꽃 핀 무덤도 더러 있었다. 자손이 돌보지 못한 무덤일수록 삐비꽃이 우쭐거렸다. 여기서 '삐비꽃 봉분'은 그와 달리 어머니의 은유지만 말이다. '단물 다 내어주고/심지까지 다 뽑히고' 그래도 한결같이 삶의 '기슭을 지켜' 온 '울 어머니'. 그렇게 헌신한 이 땅의 어머니들이 있어 오늘도 꽃이 핀다.
삐비꽃이 한창 필 때다. 들에 나가 맞아야겠다. '은발로 다녀가시는' 뒷모습….
정수자 시조시인
[출처] 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