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의 보물 공개 (떨잠 어보 어검 등) 떨잠(떨철반자)은 궁중의 여인네들이 큰머리 어여머리 앞 중심과 양 옆에 꽃았던 머리 꾸미게다. 원형, 각형, 나비형의 옥판에 칠보 진주 등의 보석으로 꾸미고 은사로 가늘게 용수철을 만들어 끝에 은으로 만든 꽃새, 나비 모양의 떨새를 붙인다. 떨잠은 옥판위의 떨새가 움직일 때 마다 흔들리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며 이 떨새의 모양 무척 아름답게 보입니다. 전채를 떨잠(떨철 반자)이라 하며 스프링과 그 끝의 장식을 떨새라 한다. 영 정조 시대의 어검 임금의 연 월도 각종 어검들
쌍룡각 보개
은주전자 태조 이성개의 어보와 어보 함
노부(鹵簿)=조선시대 궁중 행사 때 사용한 각종 물품과 편성 인원 및 운용 방식을 일컫는 말.
자료출처:국립고궁박물관 자료 |
'詩, 詩調. 童詩, 漢詩 > 역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묘제례악 (宗廟祭禮樂) (0) | 2010.07.26 |
---|---|
잊혀져가는 정겨운 우리 것들 (0) | 2010.07.25 |
백년전 사진 (수원 화성) (0) | 2010.07.25 |
경복궁아미산의 굴뚝 (景福宮峨嵋山의 굴뚝) (0) | 2010.07.23 |
경복궁의 수정전 (0) | 2010.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