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한시

同韻兒與孫(동운아여손) 아들 손자와 함께

무너미 2013. 3. 9. 07:14

 

 

[가슴으로 읽는 한시] 同韻兒與孫(동운아여손)  아들 손자와 함께

 

同韻兒與孫(동운아여손)  아들 손자와 함께

 

高高庭樹乍搖枝(고고정수사요지)  높디높은 나무에서 가지 살랑 흔들흔들

幽鳥飛걐自可知(유조비래자가지)  어디선가 작은 새가 날아왔다 알려주네.

쮖爾魚蛙爭匿草(숙이어와쟁닉초)  후닥닥! 물고기도 개구리도 뒤질세라 풀에 숨더니

果然翡翠下窺池(과연비취하규지)  왜 아닐까? 물총새가 연못을 엿보고 있네.

景光新出模詩妙(경광신출모시묘)  광경이 새로워서 시로 짓기 오묘하지만

情悲詳看倚杖遲(정비상간의장지)  애잔하여 들여다보며 지팡이에 기대서려니

卽又雙飜金翅蝶(즉우쌍번금시접)  그 틈에 또 노랑나비 쌍쌍이 펄펄 날아오는

一時奇事겭相期(일시기사약상기)  이 한때의 기이한 일 약속이라도 했나 보다.

 

                                                        —이규상(李奎象·1727~1799)

 

 

18세기 명사들의 인물평을 잘했던 학자 이규상이 지은 시다. 어느 날 아들 손자와 함께 집에서 본 풍경을 기이하다고 감탄하여 썼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기이할까? 얼핏 보면 언제나 뜰을 지키고 서있는 나무의 가지 하나가 흔들거리고 그 뒤에 일어난 소소한 장면일 뿐이다. 새가 나타난 낌새를 채고 물고기와 개구리가 풀 속으로 숨어든다. 아니나 다를까 물총새란 놈이 연못을 노려보고 있다. 고요하고도 지루한 한낮의 일상을 깨트리는 작은 소란에 시인의 마음이 설렌다. 그 설렘이 가라앉을 찰나 황금빛 날개 펄럭이며 나비가 쌍쌍이 날아든다. 무감각해진 시인을 놀라게 하려고 약속이라도 한 듯하다. 할아버지의 감각이 손자보다 예민하다.

안대회·성균관대 교수·한문학

 

늘의 좋은 글

용서하라

우리에게는 남을 책망할 수 있는 권리는 없는 것이다.

그대에게 죄를 지은 사람이 있거든,

그가 누구이든 그것을 잊어버리고 용서하라.

그때에 그대는 용서한다는 행복을 알 것이다.

- 톨스토이 -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日城山偶書(춘일성산우서) 봄날 성산에서  (0) 2013.03.29
獨笑(독소) 혼자 웃다  (0) 2013.03.20
옛사랑  (0) 2013.03.02
황산과 함께 짓다   (0) 2013.02.25
야설(野雪)  (0) 201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