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시조

잠시, 천 년이

무너미 2013. 11. 8. 06:34

 

 

 

가슴으로 읽는 시조   잠시, 천 년이

 

잠시, 천 년이

 

우리가

어느 생에서

만나고

헤어졌기에

 

너는

오지도 않고

이미 다녀갔나

 

등나무

의자에 앉아

잠시, 천 년이

지난다

 

―김현(1946~         )

 

            ▲유재일

 

깊을 대로 깊은 가을, 저무는 단풍들이 도심 고샅까지 뒤흔들며 가고 있다. 꽃보다 뜨겁게 타오르던 만산홍엽도 이제 떠나는 몸짓으로 스산하다. 앙상한 뼈대 같은 나뭇가지들만 전열을 가다듬듯 결연한 자세로 찬 바람을 맞는다. 그 사이로 아직 남아 있는 단풍 끝물이며 마른 풀잎들이 바람을 붙잡다 놓치다 몸부림을 친다. 미련 같은, 회한 같은 쓸쓸함 속으로 미처 불태우지 못한 채 입동을 맞은 어물쩍 단풍의 당혹감 같은 게 스친다.

 

항상 그랬던가. 하고 보면 뭔가 늘 놓치거나 뒤늦게 허둥대는 회한 따위를 더 많이 끼고 왔지 싶다. 올해도 원하던 시나 사랑이나 먼 산 너머로 지나갔는지 소출이 턱없이 허전하다. 시절을 변명 삼아 넘어온 탄식의 반복. 그렇게 '잠시, 천년이' 가버린 것인가. 아니 가버릴 것인가. 그런데 너는 '오지도 않고 / 이미 다녀'간 것인가. 다시 또 잎 다 진 등나무 아래서 하염없이 기다려야 할 것인가. 서로의 몸을 끌어안고 올라가는 등나무, 어느 생에 다시 만나 마음을 저리 꽃피워볼까.

정수자 | 시조시인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도장 파는 골목  (0) 2013.11.22
가을밤  (0) 2013.11.14
그 옛집  (0) 2013.10.30
우체국을 지나며  (0) 2013.10.19
외딴집  (0) 201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