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한시 山中雪夜(산중설야) 산중의 눈 오는 밤
山中雪夜(산중설야) 산중의 눈 오는 밤
紙被生寒佛燈暗(지피생한불등암) 종이 이불 오싹하고 호롱불은 침침하다. 沙彌一夜不鳴鐘(사미일야불명종) 동자승은 밤이 새도록 새벽종을 치지 않는다. 應嗔宿客開門早(응진숙객개문조) 자던 손님이 문 일찍 연다고 동자승이야 투덜대건 말건 要看庵前雪壓松(요간암전설압송) 암자 앞의 눈 덮인 소나무는 놓치지 않고 꼭 봐야 하겠네.
-이제현(李齊賢·1287∼1367)
고려 말의 큰 학자이자 정치가인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1287∼1367)이 겨울철 산사를 찾았다. 때마침 큰 눈이 내려 산은 온통 눈에 뒤덮이고 날은 되게 추워졌다. 산중의 찬 공기에 낯선 잠자리, 게다가 밖에는 큰 눈이 온다. 밤새 뒤척이며 잠을 설쳤다. 눈이 쌓인 산속 풍경은 얼마나 멋질까? 가슴은 두근두근 조바심이 나서 견딜 수 없다. 익재가 일어나면 동자승도 따라 일어나야 하는 법. "왜 꼭두새벽부터 일어나 귀찮게 한담!"잠 덜 깬 동자승의 푸념이 들릴 듯하다. 그래도 좋다. 누가 뭐래도 산속 설경을 내가 처음 대면하리라! 그 멋진 설경도 대수롭지 않은 동자승의 천진난만함 덕분에 익재의 설경 감상이 한층 운치가 생겼다. 인간미가 넘치는 설경산수도(雪景山水圖) 한 폭이다. 지금도 어느 산중에서는 익재가 본 풍경이 펼쳐질 것만 같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投宿山寺(투숙산사) (0) | 2014.02.03 |
---|---|
雪月(설월) 눈과 달 (0) | 2014.01.23 |
倚杖(의장) 지팡이 짚고서 (0) | 2014.01.11 |
春帖(춘첩) 새봄을 맞아 (0) | 2014.01.04 |
題雲峯寺(제운봉사) 운봉사에 올라 (0) | 2013.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