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한시

낙화

무너미 2015. 5. 13. 06:18

[가슴으로 읽는 한시] 낙화

 

일러스트 : 송준영

 

낙화

 

산은 절을 감싸 안고

돌길은 구불구불 올라가네.

구름이 감춰놓은

호젓한 골짜기를 들어서자

스님의 푸념 소리 들려오네.

"봄이라 일도 많네!

아침마다 절 문 앞에서

낙화를 쓸어야 하네."

 

題僧軸(제승축)

 

山擁招提石逕斜(산옹초제석경사)

洞天幽杳閟雲霞(동천유묘비운하)

居僧說我春多事(거승설아춘다사)

門巷朝朝掃落花(문항조조소낙화)

 

휴와(休窩) 임유후(任有後·1601~ 1673)

 

 

휴와(休窩) 임유후(任有後·1601~ 1673)가 젊은 시절 산사에 올라가 지었다. 번잡하고 바쁜 일상을 벗어나 산사를 찾아 산행을 즐길 때가 되었다. 산이 절을 감싸고, 구름이 계곡을 숨겨놓아 뭔가 모르게 속인의 발길을 막는다. 가파른 돌길을 걸어 절 문에 들어서자 스님의 푸념 소리가 먼저 들려온다. "봄이 되니까 정말 바쁘네. 웬 놈의 꽃은 이렇게 많이 진담. 아침마다 쓸기 귀찮아 죽겠네." 산사도 속세와 다를 바 하나 없고, 스님도 바쁘긴 매한가지다. 그런데 왜 갑자기 한가로운 느낌이 밀려오며 마음이 맑아지는 걸까? 낙화를 빗질하느라 바쁘다는 푸념이 복에 겨운 소리로 들려온다. 가끔은 자연스럽게 사는 것에 마음을 맡겨도 좋겠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출처] 조선닷컴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화  (0) 2015.05.29
한국통사를 읽고  (0) 2015.05.21
열두 고개  (0) 2015.05.01
꽃을 보다  (0) 2015.04.24
약이란 이름의 아이  (0) 201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