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애송 동詩[33]
| 
 
 
 먼지야,자니? 이상교  | |
| 
 책상 앞에 뽀얀 먼지 “먼지야, 자니” 손가락으로  | 
 등을 콕 찔러도 잔다, 찌른 자국이 났는데도 잘도 잔다. <2006년>  | 
| 
 일러스트=양혜원 
 작고 볼품없는 것들에 대한 사랑 
  먼지는 그 부피나 의미의 크기에서 가장 작은 단위의 물질이다. 한 시학자에 따르면 먼지는 찢어짐과 모순에서 태어나고 그 본질은 극한소의 분할이다. 먼지의 정체성이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물질의 최소단위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듯하다. 이를테면 김수영이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적으냐"(〈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할 때, 먼지는 더 작게 쪼갤 수 없는 가장 작은 자아, 작아서 볼품도 없고 의미화할 수도 없는 한심한 것의 상징이다. 먼지는 고갈, 오류, 소멸의 연상에서 그 존재태(存在態)를 드러내지만 그것이 먼지의 불명예는 아니다. 먼지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는 것은 그것이 도덕성의 결과가 아니라 먼지의 타고 난 바 불가피한 숙명인 까닭이다.  | |
'좋은인연 > 애송 동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술시간 / 김종상 (0) | 2008.06.20 | 
|---|---|
| 닭 / 강소천 (0) | 2008.06.19 | 
| 봄편지 / 서덕출 (0) | 2008.06.17 | 
| 밤이슬 / 이준관 (0) | 2008.06.16 | 
| 잡초 뽑기 / 하청호 (0) | 2008.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