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타사(壽陀寺) 서울노인복지센터 신(新) 노인문화를 선도하는 동아리대표자 워크샵을 마치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홍천의 수타사를 들러보았습니다. 봉황문(鳳凰門)(다른 사찰은 일주문)으로 들어서기 전 아담하고 예쁜 연못이 조성되어있고 연못에 수리연의 작은 줄기가 굽어있는 모습이 예쁘더군요. 연못을 둘러보고 봉황문 앞에 오니 우리문화재 해설사님(자원봉사자)께서 해설을 듣고 해설사님을 따라 경내로 들어가는데 봉황각 양편의 사천왕 상이 유형문화재 121호의 위엄에 압도당하는 느낌 이였다. ◉ 주요문화재 수타사 대적광전(지방문화재 17호), 월인석보(보물745호) 수타사 동종(보물 11-3호), 사천왕상(유형문화재121호) 삼층석탑(문화재 자료 11호), 홍우당 부도(문화재료15호)
월인석보(보물745호) 종 목 보물 제745-5호 명 칭 월인석보<권17,18>(月印釋譜<卷17,18>)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관판본 수량/면적 2권1책 지정(등록)일 1983.05.07 소 재 지 강원 홍천군 동면 덕치리 9번지 수타사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수타사 관리자(관리단체) 수타사 일반설명 | 전문설명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5년(1459)에 편찬한 불교대장경이다. 석보는 석가모니의 년보 즉 그의 일대기라는 뜻이다. 조선 세종 28년(1446)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아들인 수양대군(후의 세조)이 불교서적을 참고하여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한 것이 곧 『석보상절』이다. 세종 29년(1447) 세종은 『석보상절』을 읽고 각각 2구절에 따라 찬가를 지었는데 이것이 곧 『월인천강지곡』이다.
세조 때 처음 간행된 초간본으로, 2권 1책이다. 본래 강원도 홍천의 수타사 인왕문에 있는 사천왕상의 배부분에서 발견되었다. 권 17은 전부가 완전하며, 권 18은 제87장 하부가 없어졌으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내용은 권 17은 『월인천강지곡』제311장에서 제317장까지이며 권 18은 제318장에서 제324장까지 해당되는 내용이다. 자료출처 : 수타사
|
'詩, 詩調. 童詩, 漢詩 > 역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전도비 (0) | 2010.05.13 |
---|---|
지난 세월의 우리들의 어머니 (0) | 2010.05.08 |
4.19 기사 몇가지 (0) | 2010.04.20 |
우리문화 기행 (충북 괴산 연풍성지) (0) | 2010.04.16 |
홍범도 장군 생전 모습 (0) | 201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