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역사자료

경복궁(景福宮)

무너미 2009. 11. 5. 10:21

경복궁(景福宮)

 

【궁의 명칭】

①경복궁(景福宮) : 왕명의 의해 정도전이 {시경} 주아(周雅)에, 이미 술로써 취하고 이미 덕으로써 배부르니 군자는 만년에 그대의 복이 밝아서 끼이도다(旣醉以酒 旣飽以德 君子萬年 介爾景福)에서 경복 인용

②북궐(北闕) : 도성의 북쪽에 위치하므로 북쪽의 대궐

 

【경복궁의 연혁】

①이성계 태조 즉위 4년(1395년) 창건

■근정전 5칸에 월대(越臺)와 행랑, 근정문, 천랑(穿廊), 각루, 강녕전(康寧殿) 7칸, 연생전(延生殿) 3칸, 경성전(慶成殿) 3칸, 시사지소(視事之所)인 보평청(報平廳) 5칸 외 상의원, 중추원, 삼군부(三軍府) 등 390여 칸

■세종 집현전, 시각을 알리는 보루각(報漏閣), 천문관측 간의대(簡儀臺), 강녕전 서쪽에 흠경각을 짓고 그 안에 시각, 사계절 옥루기(玉漏器)

②1592년 임진왜란 전소

③경복궁에서 단종이 귀양, 중종 때 조광조 왕의 친국 사약 등 경복궁이 길하지 못한 여론으로 창덕궁 재건

④1867년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7,225칸 건축

⑤1868년 고종은 경복궁으로 옮겼으나 1895년 명성황후 시해

⑥1896년 고종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기면 빈 궁궐

⑦1910년 일본 속국으로 일본인 4,000여 칸 헐어서 민간 방매

⑧1917년 창덕궁 내전 화재 발생을 기화로 교태전, 강녕전, 동행각, 서행각, 연길당, 경성전, 연생전, 인지당, 흠경각, 함원전, 만경전, 흥복전 등을 청거한 재목으로 창덕궁의 대조전, 희정당의 내전을 건립

⑨궁전에는 겨우 근정전, 사정전, 수정전, 천추전, 집옥재, 경회루, 근정문, 흥례문, 신무문(神武門), 동십자각, 광화문은 건춘문 북쪽으로 이건

⑩광화문 철거, 1917년 근정전 전면에 조선총독부 청사, 건청궁터에 미술관 건립으로 궁의 옛모습 거의 인멸 조선물산공진회

⑪1945년 해방 조선총독부 청사 정부청사

⑫1968년 콘크리트조 광화문 복원

⑬1971년 목조기와형 콘크리트조 박물관

⑭1986년 박물관 총독부 청사 이건

 

【경복궁의 배치】

○풍수지리설에 북악산 주산(主山), 남산은 안산은 남산, 내수(內水)는 청계천, 외수는 한강, 건축 남경사에 남향

 

【경복궁의 문】

○광화문 1398년 남쪽에 광화문(光化門) 정문 중앙 왕 좌우 신하 왕세자 문루에 종 1968년 콘크리트조 박정희 휘호

○동쪽에 건춘문(建春門) 만물 기운 소생 세자 동궁 신하 층층다리 태극문양

○서쪽에 영추문(迎秋門) 가을맞이 문무 백관

○북쪽에 신무문(神武門) 신하 공훈 기록 회맹단 왕이 회맹식 참석

▲동쪽 청룡, 서쪽 백호, 남쪽 주작, 북쪽 현무

○궁성의 네 모서리 각루 전면 좌우

▲궁성의 동남쪽 모서리 동십자각(東十字閣) 궁성의 당장 헐리면서 길 한복판, 서십자각 일제 때 멸실

 

【경복궁의 중문】

○1395년 창건 때 원래 이름은 예를 널리 편다는 홍례문(弘禮門)이었으나 1867년 대원군이 중건하면서 청(淸) 건륭제(乾隆帝)의 홍력(弘歷)에서 홍자를 피하려고 흥례문(興禮門)으로 개명

○흥례문의 행각 서북쪽 유화문 궐내각사 빈청을 드나든 문

 

【영제교(永濟橋】

○흥례문과 근정문 사이에 근정전으로 들어가는 다리

○어구에 돌다리 영제교(永濟橋, 錦川橋)를 건너 근정문(勤政門, 보물 812호) 행각(行閣)으로 연결

○다리 위에 3칸 가운데 임금이 어가를 타고 통행한 어도

○풍수지리 금천을 지키는 상상의 산예 16마리

○영제교 밑에 명당수가 모자라 서북쪽에서 끌어왔다.

○명당수 개천어구(開川御溝)는 북악(백악) 산록에서 발원 금천 영추문에서 직각으로 꺾여서 서쪽에서 동쪽으로 유수 청계천으로 흐른다.

○향원지 북서쪽 열성진원지 명당수 발원지

○왕이 근정문 행사시 신하 도열 경계. 영교의 중심 북쪽 2품 이상 남쪽 3품 이하

 

【근정문】

○답도 봉황무늬 왕이 통행

○편문 일화문(日華門) 월화문(月華門)

○동쪽 행각 학문상징 융문루(隆文樓), 서쪽 행각 힘을 상징 융무루(隆武樓)

○근정문 가운데 칸 어좌 남쪽으로 앉음

 

【근정전(勤政殿) 국보 223호】

○천하의 일은 부지런하면 잘 다스려진다.

왕의 권위를 상징한 대궐을 높게 중층 2단 높이 쌓은 월대 위에 전각

○월대 위엄 어계 소맷돌은 꽃구름 구름문양 구름위를 지나 천상의 세계에 이르고 그곳에서 천상의 정치

○월대의 귀퉁이 계단 주위 난간 기둥 12지신 조각상

○계석 위에 해태 조각

○행사 차일고리

○근정전 기단 상부 전돌 좌우 청동향로

○하월대 동서측 계단 화재 대비 무쇠드므

○근정전으로 오르는 하월대 답도 봉황

○근정전으로 오르는 상월대 답도 봉황과 당초

○마당 박석 품계석

○즉위식, 사신 영접, 하례 천장 용 장식 청룡 백호 주작 현무 방위신 12지신

○일월오악도(日月五嶽圖) 동악 금강산 남악 지리산 서악 묘향산 북악 백두산 중악 삼악산

○바다의 파도 조(潮)와 조정의 조정(朝廷)의 조자 같은 뜻으로 해석

○왕은 달, 해, 산, 나무에 비유 변함없이 무궁

○ 근정전 왕 상징 일월오봉도 천장 철조룡

○근정전 동행각(東行閣)

○근정전(勤政殿)은 정종(定宗), 세종(世宗), 단종(端宗), 세조(世祖), 성종(成宗), 중종(中宗), 명종(明宗) 즉위식

 

【사정전(思政殿)】

○근정전 뒤에 사정문(思政門)을 들어서면 왕과 산하들이 정치를 논한 사정전(思政殿) 정도전 지음

○사정전으로 통하는 솟을문 형식의 사정문

○내부 소조회[상참] 의식

○천장 운룡도

○동쪽에 만춘전(萬春殿)과 서쪽에 사정전 기능 보완(겨울) 온돌방 천추전(千秋殿) 남향

 

【수정전(修政殿)】

○궁의 서쪽 경회루 남쪽에 세종 2년(1420) 수정전(修政殿)은 의정부 청사, 세종 때 집현전 설치 훈민정음 메카

○고종 때 침전(寢殿) 편전(便殿) 갑오개혁 때 군국기무처 내각 사용

○한글재정의 산실, 고려사, 농사직설, 오례의, 팔도지리지, 치평요람, 삼강행실,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동국정운, 의방유취 등 서적 편찬 문화사 황금시대

○편전은 왕이 평소 정사를 보고 문신과 경전을 강론 한곳

 

【강녕전(康寧殿)】

○사정전 뒤 향오문(嚮五門)을 들어서면 정면에 왕이 일상생활을 하던 침전 연침(燕寢)인 강녕전(康寧殿) 그 앞 동서에 연생전, 경성전

○강녕전 북측 굴뚝 만수무강(萬壽無疆) 천세만세(千世萬歲)

○강녕전 서편 우물

○인간의 5복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강녕전(康寧殿) 창덕궁 희정당 1917년 화재 경복궁 강녕전 뜯어서 건축

 

【교태전(交泰殿)】

○강녕전 뒤에는 양의문(兩儀門) 안에 왕비가 거처하는 교태전(交泰殿) 잇대어 동쪽에 원길헌(元吉軒), 서쪽에 함광각(含光閣), 동북쪽에 건순각(健順閣)

○교태전(交泰殿) 왕비 침소

○아미산 뒤에 백악산[북악산] 백두산 정기 - 북한산 - 북악산 교태전에 정기가 끊기면서 아미산 경회루 연못을 파면서 생긴 흙으로 인공산 왕세자 생산

○연휘문 아치형

○사정전 북쪽 아미산은 4단의 화계(花階) 그 사이 나무 괴석 사철 조화 여기에 육각의 화문 장식 교태전 굴뚝(보물 811호) 봉황, 당초문, 용문, 소나무, 매화, 국화, 바위, 새, 사슴

○호수와 연못 상징 석함(石函) 산과 호수

○낙하담(落霞潭) 노늘에 비친 연못

○함월지(涵月池) 달에 담긴 호수

 

【자선당(資善堂)】

○주전각 자선당 비현각(丕顯閣) 왕세자 왕세자빈

○동궁 건물의 일부 왕세자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거처

 

【경회루(慶會樓)】

○경회루(국보 224호)는 임금과 신하의 잔치, 사신 접대, 조선 제일의 누각

○네모진 24개 돌기둥 상층 사방 나무기둥 24절기

○방형의 연못 동룡

○연산군 경회루 왼쪽 인공섬 ‘만세산’ 섬을 쌓고 금, 은, 비단 장식 초화화판 기생집단 ‘흥청’과 주야유락하면서 흥청망청

○경회루 옆 하향정 담벼락 육각정 이승만 낚시터

○주역 하도 사방 3중 구도 주역의 원리 36궁

 

【흠경각(欽敬閣)】

○흠경각은 세종 20(1438) 장영실에 의해 건립 절기 시간을 알리는 자동 천문 물시계 옥루기륜(玉漏機輪)

 

【자경전(慈慶殿)】

○자경전(보물 809호)은 침전, 이 건물 후원 담장 굴뚝 십장생

○흥선대원군이 고종의 양어머니 조대비 신정왕후를 위하여 지은 건물

○자경전 십장생, 박쥐문, 당초문 굴뚝

○꽃담은 내벽에 주황색 벽돌 만수문, 격자문, 육각문, 오얏꽃,

○외벽에 매화, 천도, 모란, 국화, 대나무, 나비, 연꽃

○매화 봄소식 새와 노래 화조도

○자경전 보름달 새 월매도(月梅圖) 휘파람새

○모란(牡丹) 꽃중의 왕 백화왕(百花王) 붉은 단(丹) 굵은 뿌리 새싹 숫컷 형상 모(牡)

○자경전 모란 나비 꽃

○난(蘭) 사군자 여름 군자향 고결한 선비

○국(菊) 가을 인내 지조 진나라 도연명

○죽(竹) 겨울 푸른 잎 절개 선비 욕심이 없이 텅빈 대

○복숭아 목숨 관장 장수신 수성(壽星) 노인 무병장수 선도(仙桃)

○연(蓮) 더러운 흙에서 청초

○석류 주머니 많은씨 다남자 포도 다산

○당초(唐草) 뻗어가는 덩굴 생명력 번창

○박쥐 편복(蝙蝠) 복자 동일 다섯 마리 오복

○불가사리 불을 먹는 상상 동물

○봉황(鳳凰) 봉은 숫컷 황은 암컷

○십장생 해 구름 산 바위 물, 사슴 학 거북, 소나무 불로초

○기하무늬 귀갑문 노문 고리문 바자문 부구니를 잔 모양

○빙열문(氷裂紋)

○문자무늬 복(福) 강녕(康寧) 희(囍) 세(歲)

 

【향원정(香遠亭)】

○향원정(香遠亭) 육각형 목조구름다리 연결 고종이 건청궁을 만들 때 지은 정자

○향원지(香遠池) 구름다리 취향교(醉香橋)는 본래 북쪽에 건청궁과 연결 건청궁 지을 때 조성

○발원지 열상진원(洌上眞源)샘 향원지-경회루-경복궁 밖으로 유수

 

【건청궁(乾淸宮)】

1873년 건립, 2007년 10월 복원

향원정 뒤에 乾淸宮 10년 거주

○고종 내외가 거처하기 위하여 내탕금으로 지은 별궁 1895년 을미사변 坤寧閤 명성황후 시해 당한 곳

○명성황후 시해터 순국숭모지 야간 순찰을 꺼리는 지역

○1895년 10. 8일 살해 시신 ‘녹산(鹿山)’으로 옮겨 소각 잔해를 향원정 일대 산포

○건청궁 우리나라 전기 최초 가설 명성황후 시해

건청궁 동쪽 인공산 바로 옆에 작은 동산 녹산

명성황후 시해 석유 소각

동궁세자 자선당 계단 불먹은 석재 계단

연산군 성종이 아끼는 사슴 죽임

○곤녕합(坤寧閤) 명성황후(1851~1895) 거실 침실

○건청궁(乾淸宮) 장안당(長安堂) 왕의 거처

○옥호루 근처 광복후 조난지지비(遭難之地碑, 현철거) 수립

을미사변 1895년 8월 20일 건청궁 침입 명성황후 난자

1907 고종폐위

1909 철거 건청궁

일본인 자객 장안당과 곤녕합 사이 뜰로 황후를 끌고 나가 시해

황후 시신 곤녕합 일부 동쪽 옥호루 방안 잠시 옮겨 둠

건청궁 동쪽 인공산 녹산 남쪽에 시신 불태움

1895년 10월 8일 자객 시해 칼(肥前刀 히젠도) ‘토오가쯔아키’ 쿠시대 신사 기증

○쿠시다 신사 수킬로 센신원 절신원(節信院) 임제종(臨濟宗) 계파 절 칼의 내력

토오가 세운 관음상 명성황후 얼굴 참조

국제 소용돌이 민비사건

○복수당(福綏堂) 편안 수

○정시합(正始閤) 명성황후 거처 침실

○사시향루(四時香樓)

○옥호루(玉壺樓) 옥호빙(玉壺氷) 옥 항아리 얼음에서 유래

○초양루(初陽樓)

 

[출처 : 중앙일보]  

 

 

 

 

 

 

 

 

 

 

[명성황후 관련 사진 출처 다음이미지] 

 

 

신무문(神武門)

신무문(神武門) 2006년 9월 29일 개방 청와대 본관 정문

아관파천

현무 그림

○1980년 수도경비사단 30경비단 본부

○12. 12 공모 현장

 

【집옥재(集玉齋)】

○향원정 뒤쪽

신무문 동남쪽 집옥재의 일곽인 팔우정(八隅亭) 협길당(協吉堂) 고종 서재 사신접견

○집옥재(集玉齋) 현판 송나라 미련(米連)의 글씨 집자(集子)

○어진 봉안 서재 사용, 사신 접견

○1888년 경복궁 중건으로 고종이 창덕궁에서 함녕전 별당을 경복궁으로 오면서 전각도 이전

○중국풍 수장된 4만권 책이 있었다 함

○1893년 영국, 일본, 오스트리아 외국공사 접견

 

[주련]

쇄윤함고운기다수(灑潤含膏雲氣多壽) 물기를 뿌려 머금은 기름진 은기가 많아 장수하니

칭물납조경심미광(稱物納照鏡心彌光) 만물을 거두어 비춘 거울 마음은 두루 빛나게 이르네

옥수릉소운연환채(玉樹淩霄雲煙煥采) 아름다운 나무가 하늘에 솟으니 안개구름 빛나게 가리니

보화류연필묵생향(寶花留硏筆墨生香) 보배 꽃송이 벼루에 머무니 필묵에 향기가 생기네

서산조래치유상기(西山朝來致有爽氣) 서산에 아침이 되니 시원한 기운으로 다다르니

태화야벽인문청종(太華夜碧人聞淸鐘) 태화의 밤이 푸르니 사람은 맑은 종소리 듣네

 

【태원전(太元殿)】

○청와대 가까운 곳

○태원전(太元殿) 태조 이성계 어진 모신 곳

○신정왕후 조대비 명성황후 빈전으로 사용

○빈전(殯殿), 혼전(魂殿), 영전(靈殿) 관을 모시는 곳

○1997년 군대철수 청와대 왕이 죽으로 능으로 옮기기 전에 빈소(殯所)

 

【잡상】

취두 용두 잡상 서유기 주인공 삼장법사 손오공 사오정 저팔계

 

【국립민속박물관】

○불국사 우측 백운교(白雲橋) 청운교(靑雲橋) 다리밑 판석 입석

○좌측 연화교(蓮花橋) 칠보교(七寶橋) 판석 눞힘

○2층 금산사 미륵전

○3층 화엄사 각황전

○5층 법주사 팔상전

○1층 중앙홀 경주 반월성과 동궁[안압지와 임해전지]

○황룡사지, 백제 사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