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젓한 집 (幽居·유거)
봄풀이 사립문에 오른 곳 春草上巖扉(춘초상암비) 숨어 살아 세속의 일 드무네 幽居塵事稀(유거진사희) 꽃이 나직해 향기 베개에 스미고 花低香襲枕(화저향습침) 산이 가까워 비췻빛 옷에 물드네 山近翠生衣(산근취생의) 가는 빗방울 못물에서나 보이고 雨細池中見(우세지중견) 약한 바람 버들 끝에서나 알겠네 風微柳上知(풍미유상지) 천기(天機)가 흔적을 남기지 않는 곳 天機無跡處(천기무적처) 담담하여 마음과 어긋나지 않네 淡不與心違(담불여심위)
-송익필(宋翼弼·1534~1599)
자연의 변화가 주는 멋은 번잡한 도회지보다는 호젓한 산속에 숨어 사는 이의 거처에서 더 잘 보인다. 고독과 고요함을 즐긴 유학자 송익필에게는 그 변화가 더 각별하게 다가온다. 베개에 스미는 향기, 옷에 물드는 푸른빛, 너무 가늘어 연못의 물을 봐야만 떨어지는 줄 아는 빗방울, 버들가지 끝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람 등은 혹시라도 사람이 알아차릴까 봐 염려하는 듯 소리도 없이 왔다가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그렇게 왔다가 가는 것이 자연의 이법, 즉 천기(天機)다. 호젓한 곳에 머무니 마음도 자연을 닮아가는 듯 담담해진다. 세속에 몸담고 있는 우리들은 가끔 그 호젓함이 부럽다. (조선일보 5월 5일)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 한문학
|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슴으로 읽는 한시] 황혼(黃昏) (0) | 2012.05.19 |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아이들에게(次兒輩韻還示·차아배운환시) (0) | 2012.05.12 |
[가슴으로 읽는 동시] 예나 이제나 (0) | 2012.05.03 |
[가슴으로 읽는 한시]쌀 빚을 탕감해달라고 관아에 바친다(呈分司乞蠲戶米·정분사걸견호미) (0) | 2012.04.28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서울은 복어국 먹는 계절 (0) | 2012.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