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시

공백이 뚜렷하다

무너미 2013. 1. 4. 06:40

 

 

[가슴으로 읽는 시] 공백이 뚜렷하다

 

공백이 뚜렷하다

 

해 넘긴 달력을 떼자 파스 붙인 흔적 같다.

네모반듯하니, 방금 대패질한

송판 냄새처럼 깨끗하다.

새까만 날짜들이 딱정벌레처럼 기어나가,

땅거미처럼 먹물처럼 번진 것인지

사방 벽이 거짓말같이 더럽다.

그러니 아쉽다. 하루가, 한주일이, 한 달이

헐어놓기만 하면 금세

쌀 떨어진 것 같았다. 고렇게, 또 한해가 갔다.

공백만 뚜렷하다.

이 하얗게 바닥난 데가 결국,

무슨 문이거나 뚜껑일까.

여길 열고 나가? 쾅 닫고 드러눕는 거?

 

올해도 역시 한국투자증권.

새 달력을 걸어 쓰윽 덮어버리는 것이다.

 

                                  -문인수(1945~     )

 

 

흰 눈과 함께 새해가 시작되었다. 지난해의 궂은 일들이 저 눈 온 설원(雪原)처럼 지워졌으면 좋겠다. 빈 벽 하나 가지기가 힘들다고 탄식한 작가가 있었다. 웬 붙일 것, 걸어둘 것은 그리 많은지. 이발소 그림부터 수건에 달력이나 잡지 부스러기들도 모두 거기 걸어놓고 기대놓고들 산다. 가난한 집 식구 많듯이. 문득, 달력 바꾸느라 떼어놓고 바라보는 벽면은 화사한 맨살이다. 우리네 일년살이가 벽에 때를 묻히는 일이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세상을 깨끗이 하는 일이 아니라 때를 묻히는 일이라니! '헐어놓기만 하면' 금방 바닥이 드러나는 한 달 혹은 일생! 그 빈 바닥에 '쾅, 닫고 드러눕는' 것이 일생이라면 허망하기 그지없다. 하나 허망을 공부하자. 제가 묻힌 때만 지우고 가도 인생 성공이다. 저 설원처럼.

장석남·시인·한양여대 교수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금이 온다.  (0) 2013.01.14
무의미  (0) 2013.01.08
까치밥  (0) 2012.12.31
  (0) 2012.12.28
무엇일까, 내가 두려워하는 것들이  (0) 2012.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