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시 빈 산
빈 산
마을 논바닥이 다 말라갔다 먼 산 바라보며 빈 쌀독 빠각 빠각 긁어대던 어머니 산그늘 중턱엔 뻐꾸기 소리 요란한데 마른 젖 물리고 긴 뻐꾸기 울음소리로 울던 어머니
―이영춘(1941~ ) ▲유재일
뒷산에도 먼 산에도 뻐꾸기 소리 한창이다. 뻐꾸기 울음소리 듣자면 애처롭고 애틋한 마음이 생겨난다. 논두렁길에, 밭둑길에, 마른 산길에 그 소리 쏟아지면 마음은 끝없이 이어져 어딘가로 흘러간다.
나른한 한낮에도, 저녁밥 때에도 뻐꾸기 소리는 툭툭 불거진다. 홀쭉한 뺨에 튀어나온 광대뼈처럼. 그 울음 속에는 어머니가 있다. 묵은 곡식이 다 떨어져 조리로 일 쌀이 모자라 쌀독 바닥을 박박 긁는 가난한 어머니가 있다. 마른 젖을 빨고 있는 살붙이를 애끓이며 바라보는 어머니가 있다.
그 빈곤의 세월을 지나 여기까지 왔다. 보릿고개를 넘어 여기까지 왔다. 텅 빈 산에 뻐꾸기가 우는데 그 시절 그 어머니는 어디로 가셨나. 산그늘 지는 무덤에 어머니는 잠드셨나.
문태준 | 시인 [출처] 프리미엄조선 |
오늘의 좋은 글
인생의 의미
인생이 의미가 있는 것은 인생 속에서 우리가 기다림을 갖고 살기 때문일 겁니다.
누군가를 기다린다는 것, 이것은 행복이고 설렘입니다.
누군가를 언젠가는 다시 만날 수 있음을 알고 산다는 것, 사랑하는 누군가와 같은 하늘 아래 있다는 것, 그것 자체가 삶의 희망입니다.
- 진영 -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시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엄경 (0) | 2014.06.30 |
---|---|
들녘 (0) | 2014.06.23 |
사랑 2.0 (0) | 2014.06.07 |
냉이꽃 (0) | 2014.05.31 |
아카시아 (0) | 2014.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