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한시] 흥인문에 오르다
登興仁門樓(등흥인문루)
永濟橋頭泥沒膝(영제교두이몰슬) 水芹齊葉柳陰晴(수근제엽유음청) 斜陽馬繫虹蜺影(사양마계홍예영) 廣陌人看螻蟻行(광맥인간루의행) 接宅園林皆貴戚(접택원림개귀척) 滿城歌管卽昇平(만성가관즉승평) 頻來頻去何鄕客(빈래빈거하향객) 獨倚門樓第五楹(독의문루제오영) |
흥인문에 오르다
영제교 다리 끝은 무릎까지 진펄에 빠지고 우쭐 자란 미나리 밭으로 버들은 그늘을 드리웠네. 석양 아래 매어놓은 말 위로 무지개가 뜨고 넓은 대로의 행인들은 개미처럼 걸어가네. 담을이어 정원이 있는 저택들은 모두가왕실 인척의 소유이고 왕성 안을 가득 메운 풍악 소리는 태평성대를 노래하네. 자주 왔다 자주 가는 나는 대체 웬 고을의 과객인가? 흥인문 문루의 다섯 번째 기둥에 홀로이 기대 서 있네. |
조선 숙종 때 시인 유유자(悠悠子) 이희(李熺)의 시다. 그는 이완(李浣) 대장의 서손(庶孫)으로 벼슬 한자리 얻지 못한 채 경기도 여주에 살았다. 언젠가 서울에 왔다가 동대문 문루에 올라가 성 안팎을 둘러보았다. 성 밖 길은 무릎까지 빠지는 진펄이 이어지고, 버드나무 가로수 너머로 미나리밭이 넓게 펼쳐져 있다. 성 안쪽 종로는 개미가 기어가듯 행인들로 들어찼다. 거창한 정원의 대저택이 담을 잇고, 밤을 재촉하는 풍악 소리가 요란하다. 내가 몸과 마음을 붙일 곳은 저 번화한 풍경 어디에도 없다. 그런데도 자주 들락거리는 나는 뭘 해보자는 걸까? 문루의 기둥 하나에 기대 저무는 왕성을 하염없이 바라본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출처] 조선닷컴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물 무렵 채소밭을 둘러보다 (0) | 2015.08.01 |
---|---|
달밤에 탁족하기 (0) | 2015.07.24 |
이사 (0) | 2015.07.10 |
어화 (0) | 2015.07.03 |
그윽한 흥취 (0) | 201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