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한시

폭염에 괴로워하며

무너미 2015. 8. 7. 06:11

[가슴으로 읽는 한시] 폭염에 괴로워하며

 

폭염에 괴로워하며

 

비 오는 날 구름 걷어낼 묘수가 아예 없듯이

무더운 곳에 바람 부르는 일 당최 불가능하지.

모기장 걷고 모기에게 살을 대주지는 못해도

힘없는 파리 보고 칼을 뽑아서야 되겠는가?

대숲에 이는 산들바람에 적잖이 기뻤건만

창문에 쏟아지는 석양빛은 호되게 괴롭구나.

잘 알겠네. 그대가 와주면 더위가 물러나겠지.

가을 강물 같은 정신에 얼음 같은 눈동자라서.

 

苦炎熱(고염열)

 

雨天披雲曾無奈(우천피운증무내)

熱處招風亦不能(열처초풍역불능)

雖未開壽進禮蚊(수미개주진례문)

寧敎拔劒怒微蠅(영교발검노미승)

灑竹纖凉稍可喜(쇄죽섬량초가희)

射窓斜陽苦相仍(사창사양고상잉)

知是君來當辟暑(지시군래당벽서)

神若秋水眸如氷(신약추수모여빙)

 

일러스트 : 이철원

 

추사 김정희(金正喜·17861856) 선생이 8월 초 폭염에 괴로워하다가 조금 익살을 섞어 시를 썼다. 비가 한창 내릴 때 비구름을 싹 걷어낼 능력 있는가? 없다. 그렇듯이 이 폭염에 시원한 바람을 불게 할 능력도 없다. 호시탐탐 나를 노리는 모기에게 피를 희사할 만큼 이타심을 보이지는 못해도 더위에 짜증 난다고 파리를 보고 환도를 뽑아들 만큼 괜히 성깔 부려서야 될까? 다 참자. 대숲에 산들바람이 잠깐 지나가는가 싶더니만 석양빛이 창 안으로 쏟아져 들어와 그 괴로움을 견디기 힘들다. <폭염의 하루하루를 어떻게 하면 물리칠까? 벗이여! 그대가 찾아와주게. 가을 강물처럼 시원한 그대 정신을 마주하고, 얼음 같은 그대 눈동자를 바라보는 순간 더위는 씻은 듯 사라진다는 것을 나는 잘 알고 있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출처] 조선닷컴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5.08.22
여름밤 마루에서  (0) 2015.08.14
저물 무렵 채소밭을 둘러보다  (0) 2015.08.01
달밤에 탁족하기  (0) 2015.07.24
흥인문에 오르다  (0) 201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