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한시] 돈
詠錢(영전)
能平世上難平事(능평세상난평사) 愚者爲賢智者愁(우자위현지자수) 字辨開元疑月缺(자변개원의월결) 形圜齊府象泉流(형환제부상천류) 摧殘百物權何重(최잔백물권하중) 破盡千家意不休(파진천가의불휴) 子貸殖繁勤駔儈(자대식번근장쾌) 飜令編戶等王侯(번령편호등왕후) |
돈
해결하기 힘든 세상일을 잘도 해결하고 어리석은 자는 현자로, 지혜로운 자는 걱정꾼으로 만드네. 개원이란 글자가 분간되나 달이 찌그러진 듯하고 제부처럼 둥글어서 물 흐르듯 굴러가네. 온갖 물건을 헐값 만드니 권세 정말 무겁고 일천 집안을 파산시키고도 욕심을 그치지 않네. 이자 놓고 재물 불리느라 거간꾼들 바쁘니 서민도 하루아침에 제왕처럼 변하누나. |
헌종 연간의 문신 해장(海藏) 신석우(申錫愚·1805 ∼1865)가 나이 들어 돈을 주제로 시를 썼다. 시와는 어울리지 않을 동전을 시로 쓸 수밖에 없었던 유쾌하지 않은 일이 많았던가 보다. 돈은 어떤 일도 해결한다. 돈이 있으면 바보도 현자가 되고, 돈이 없으면 제아무리 똑똑한 자도 걱정만 늘어놓게 된다. 한 귀가 나간 동전일지라도 물 흐르듯 세상 곳곳을 굴러다니며 못 하는 짓이 없다. 고생하여 생산한 물건값을 싸게 후려치고, 수천 가구를 파산시키고도 만족할 줄 모른다. 괴물 같은 돈의 위력에 고리대금업자만 신이 났다. 갑자기 졸부가 된 그놈이 제왕 부럽지 않은 권세를 휘두른다. 꼴사납게 표현한 그 모습은 요즈음 일이 아니라 200년 전 일이다. 개원은 당나라 화폐 이름, 제부는 당나라 거부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출처] 조선닷컴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을 잃어버린 시 (0) | 2015.09.05 |
---|---|
마포에 노닐다 (0) | 2015.08.29 |
여름밤 마루에서 (0) | 2015.08.14 |
폭염에 괴로워하며 (0) | 2015.08.07 |
저물 무렵 채소밭을 둘러보다 (0) | 201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