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시조

은발의 사랑

무너미 2015. 11. 6. 06:12

[가슴으로 읽는 시조] 은발의 사랑

 

은발의 사랑

 

분홍으로는 못 가는 길 초록으로도 못 가는 길

번갯불 천둥으로는 더더욱 못 가는 길

수정(水晶)의 투명함만으로 그대에게 이릅니다.

 

-허영자(1938~ )

            ▲일러스트 : 이철원

 

은발의 시절. 억새며 갈대가 한껏 피어 산하를 뒤덮을 때면 은발의 세상을 이룬다. 빛깔로 치면 갈대보다 훨씬 곱고 선명한 은빛의 억새. 그런 억새들이 논밭두렁이며 산등성이 할 것 없이 이루는 은발 천지는 또 다른 장관이다.

 

도심에도 은발이 늘고 있다. 염색하지 않는 흰 머리 노년이 늘며 또 다른 은발의 당당한 풍경을 만드는 것이다. 그것은 '분홍으로는 못 가는 길'이고 '초록으로도 못 가는 길'이다. 물론 '번갯불 천둥으로는 더더욱 못 가는 길'이 틀림없다. 무수한 '분홍''초록''번개''천둥'까지 이르는 연륜을 다 보내고 나서야 허여되는 시간의 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인생의 '수정(水晶)' 훈장 같은 것 아닐까.

 

그 수정의 투명함만으로 그대에게 이른다는 겸허한 수용에서 은발은 더 빛난다. 낙엽 속에서 은발이 깊이 돌아뵈는 것은 저무는 철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여성 시인의 은발, 그 눈부신 관 앞에 햇빛도 잠시 시린 듯하다.

 

정수자 시조시인

[출처] 조선닷컴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럭바위  (0) 2015.11.20
시든다는 말  (0) 2015.11.13
  (0) 2015.10.30
작은 시  (0) 2015.10.23
變調.73  (0) 2015.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