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시조

괭이밥

무너미 2016. 4. 29. 09:15

[가슴으로 읽는 시조] 괭이밥 

   

▲일러스트 : 이철원

괭이밥

 

열지 않는 문틈 사이 그냥 와서 피기까지

아무도 봄 변덕을 알아채지 못하고

자욱한 둑 넘어 얽힌 그 사연만 들춰왔다

바깥날 눈부신데 움츠리는 여린 것들

오래 묻은 약속이 지지 않고 또 번지는가

괭이밥 귓불 만지며 붉어진 뜰 쓸어본다

 

제만자(1956~)

 

여린 새순들이 꽃보다 예쁘게 번진다. 꽃이 지나간 자리마다 아니 채 지기도 전부터 뒤질세라 밀고 나온 새잎들도 연두를 마구 문지르고 있다. 어느 광고처럼 '연두해요~'라고 도처에서 새것들이 외치는 것만 같다.


괭이밥도 요기조기 잎을 내밀고 제 길을 내는 중이다. 조만간 노란 꽃을 재잘재잘 피워낼 것이다. 누군가의 '열지 않는 문틈 사이'도 지나치나 본 듯 '그냥 와서' 피워주기도 하겠다. '봄 변덕'이 올봄처럼 심할까만 나직한 괭이밥은 개의치 않고 제 발밑부터 착실히 넓혀 가리라.

 

밤이면 오소소 오므라드는 세 개의 작은 잎. '자욱한 둑 넘어 얽힌 사연만 들춰'와서일까. '바깥날은 눈부신데/움츠리는 여린 것들'에 마음 쓰이는 이는 자신도 잘 움츠리기 때문일지 모른다. '괭이밥 귓불'이나 가만가만 만지며 홀로 붉었는지 뜰을 쓸어보는 바람 끝도 훈훈한 봄 하구다.

 

정수자 시조시인

[출처] 조선닷컴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삐비꽃 봉분  (0) 2016.05.13
연리목  (0) 2016.05.06
시간강사와 뱀의 질주  (0) 2016.04.22
꽃비  (0) 2016.04.15
복숭아밭에 내리는 봄비  (0) 2016.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