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調. 童詩, 漢詩/가슴으로 읽는 시조

노고단 원추리꽃

무너미 2016. 6. 10. 06:57

[가슴으로 읽는 시조] 노고단 원추리꽃


일러스트 : 이철원


노고단 원추리꽃

 

그대 오는 길목 향해 까치발 목을 빼어

나팔 귀 쫑긋 세워 발짝 소리 기다리던

후드득 여우비에도 가슴 쿵쿵 일렁였지.

뭉게구름 두둥실 뜬 노고단 숨 가쁜 언덕

하마, 하마 기다림에 한 시절 설레었어

지쳐서 주황 입술이 바싹바싹 타들어가도.

 

홍준경(1954~ )

 

한여름 야생화인 원추리가 벌써 피고 있다. 일찍 닥친 더위에 꽃들도 저의 철을 버리나 보다. 망우초(忘憂草)라고 하는 원추리는 달큰한 게 봄나물로도 인기였다. 어린 순을 잘라 무치거나 국 끓이기 좋아서 봄이면 돋기가 무섭게 뜯기곤 했다. 그래도 여름이면 뒤란 그늘에 주황빛 꽃을 곱게 피웠으니 봉선화며 백일홍처럼 언니의 꽃으로 새겨져 있다


노고단은 지리산의 '숨 가쁜 언덕'. 거기만 밟아도 지리산을 다 오른 듯 가슴이 탁 트이고 뿌듯하다. 어느 여름 노고단에서 맞닥뜨린 원추리 꽃의 청초한 진경은 잊을 수가 없다. '후드득 여우비에도 가슴 쿵쿵' 떨고 있을 노고단 원추리꽃. '하마, 하마 기다림에 한 시절 설레'던 꽃들은 지금도 설레며 피겠다. '입술이 바싹바싹 타들어가도' 그 품에 기른 기다림은 버리지 않았으리. 다름 아닌 지리산이고, 노고단이니!

정수자 시조시인

[출처] 조선닷컴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소매 수의―접경 시편 5  (0) 2016.06.24
군내와 향내  (0) 2016.06.17
세 · 대 · 차 · 이  (0) 2016.06.03
머리꾼  (0) 2016.05.27
얼굴이불  (0) 2016.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