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 명절의 유래와 풍습
해마다 정월대보름이 되면 온 가족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한 해 건강을 다집니다. 해가 뜨기 전 일어나 서로에게‘내 더위 사가라’며 여름 더위를 염가 세일(?)하고는 눈과 귀를 밝게 하기 위해‘귀밝이술’을, 부스럼 등 피부병을 예방하기 위해 ‘부럼’을 나눠 먹습니다. 정월대보름,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 가장 중요한 날로 예전에는 설날만큼 아니 오히려 보다 의미가 깊은 날이었다고 합니다. 올 정월 대보름날에는 온 가족이 함께하며 정월 대보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대보름달 "달아~ 달아~ 밝은 달아"
달맞이 정월 대보름날 저녁에 하던 점풍(占豊) 의례풍습으로 이날 초저녁에 동산에 올라가 달이 떠오르는 것을 보고 절을 하는 풍속이다. 짚으로 만든 집에다 불을 붙이는 달집태우기도 하며, 쥐불놀이와 불놀이도 함께 행한다. 정월 대보름의 달은 1년 중 추석 한가위의 달과 더불어 양기(陽氣)가 가득찬 달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신성시해왔다. 특히 태음력에 기초하여 책력(冊曆)을 만들어 농사를 지어왔기에 달에 대한 믿음이 더욱 강했다. 농민들은 풍년을 기원하여 이날 달빛을 보고 그해의 풍흉을 점쳤다. 달을 보고 과거급제를 기원하거나 총각과 처녀들이 시집·장가 가기를 빌기도 했다. 정월 대보름날(음력 1월 15일) 아침에 하는 풍속. 아침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동네 사람을 만나는 대로 상대방의 이름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게” 하고 더위를 팔면 그 해 여름은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이 날은 다른 사람이 자기 이름을 불러도 대답을 하지 않고 도리어 “내 더위 먼저 사가게” 하며 응수하는데, 이것을 학(謔)이라고 한다. 이 풍속은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더위 파는 방법으로 대보름날 아침에 대나무쪽에 가족의 이름을 적어 동전을 종이에 싸서 길바닥에 버리면 누구든지 먼저 줍는 사람이 더위를 먹는다고 한다. 가축의 더위를 면하는 방법으로는 해뜨기 전에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 나뭇가지를 꺾어서 목에 걸어두고, 소에게는 왼새끼를 꽈서 몸에 매어주며 “올해는 더위 먹지 말라”고 외치면 여름 내내 더위를 피할 수 있다고 한다.
정월대보름,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 가장 중요한 날로 예전에는 설날만큼 아니 오히려 보다 의미가 깊은 날이었다
소원을 적은 종이를 엮어서 달집태우기 달맞이·횃불싸움과 같이 정월 대보름에 하는 풍속놀이이다.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틀을 엮고 짚을 씌운 달집을 마을 동산의 적당한 기슭에 만들어 둔다. 달집의 위치는 마을에서 달맞이하기에 가장 좋은 곳에 자리잡는다. 형태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다르나 대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 쪽 면만을 터놓고 다른 두 면은 이엉으로 감싼다. 터놓은 쪽을 달이 떠오르는 동쪽으로 향하게 하고, 가운데 새끼줄로 달 모양을 만들어 매단다. 달이 솟아오르는 것을 처음 본 사람이 불을 당기고 달을 향해 절을 한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대나무 매듭을 태워 폭죽소리같이 '툭툭' 소리가 나도록 했다. 이는 잡귀와 액을 쫓기 위함이며, 달집에 수숫대·볏짚을 넣는 것은 풍요로운 생산을 위함이었다. 남자들은 온종일 거두어들인 연을 걸기도 하고, 아낙들은 소원을 적은 종이나 입고 있는 새옷의 동정을 떼어 달집을 태우면서 자신의 액이 소멸되기를 기원한다. 불꽃이 환하게 피어오르면 풍물을 신나게 울리며 한바탕 어울려 춤과 환성을 울리며 뛰어 논다. 달집이 타는 불에 콩을 구워 먹기도 했다. 지방에 따라서는 달에 절을 하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 하며, 또 1년간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믿기도 했다. 한꺼번에 불이 잘 타오르면 풍년이 들고, 타다가 꺼지면 흉년이 든다는 속설이 전해졌으며 달집이 타서 넘어질 때 그 넘어지는 방향에 따라 그 해의 풍·흉을 점쳤다. 대보름의 만월을 바라보며 풍농(豊農)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점풍(占豊)의 의미를 지녔다. 달집태우기 정월 대보름 행사에서 농악대가 불타는 달집을 돌며 공연하고 있다. 다리밟기. 정월 대보름날 밤 다리를 밟으면 1년 동안 다리병이 없고, 열 두 다리를 밟아 지나가면 열 두 달의 액을 면한다고 믿었다. 다리를 많이 지나갈수록 좋다고 해서 성안에 있는 모든 다리를 밟고 지나갔는데 이것을 '다름밟기'라고 한다고 했다. 81년만에 재현된 `다리 밟기` 서울 청계천 광통교에서 ‘다리밟기’ 행사가 열렸다.81년 만에 재현된 이 행사는 자신의 나이만큼 다리를 밟으면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인다는 풍속에서 유래됐다. 지신밟기 지신밟기(地神--)는 한국에서 세시 풍속으로 하는 놀이의 하나이다. 주로 영남지방의 농민들 사이에 행하여진다. 음력 정월보름날 행하는데 이 놀이의 뜻은 그 동리와 동리 집집의 지신(地神)을 밟아서(鎭壓) 잡귀를 쫓아, 연중 무사하고 복이 깃들이기를 비는 데 있다. 일단 중의 사대부(士大夫)·팔대부(八大夫)·포수는 적당한 가장을 하는데, 사대부와 팔대부는 맨 처음에 서서 커다란 관을 쓰고 긴 담뱃대를 물고 마치 큰 의식 때와 같이 점잖게 느릿느릿하게 걷는다. 그 뒤에 망태기에 죽은 꿩을 넣고 나무로 만든 총을 둘러맨 포수와 여러 가지 모양의 가면을 쓴 많은 사람들이 따라오고 또 고깔을 쓴 사람들이 징·북·꽹과리·장고 등 악기를 성히 쳐 울리면서 동리에서도 비교적 부유한 사람의 집으로 차례차례 들어가서 지신을 밟아 준다. 그리고 이 지신을 밟을 때에는 반드시 ‘좋고 좋은 지신아, 잡귀·잡신(雜鬼雜神)은 뭍 알로 천행만복(天幸萬福)은 이 집으로’라고 소리를 하면서 그 집의 마당·부엌 또는 광에서 밟고 걸으며 춤추면서 한바탕 논다. 경기 용인 한국민속촌을 찾은 관람객들이 지신밟기를 보며 오후 한때를 보내고 있다. 액막이 연 날리기 그해의 액운을 멀리 날려 보낸다는 뜻으로 음력 정월 열나흗 날에 띄워 보내는 연. 연에는 이름, 생년월일 따위와 송액영복(送厄迎福)과 같은 글귀를 쓴다. 오징어연 해마연도 잘 나네. 제주 정월대보름 들불축제 제주시 애월읍 새별오름에서 개막된 가운데 네덜란드팀이 해마와 오징어를 닮은 천으로 만든 연을 날리고 있다.
부럼깨물기 부럼은 음력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깨무는 밤·호두·잣·은행 등 껍질이 단단한 과실 부럼은 밤, 호두, 잣과 같은 견과류를 소리가 나도록 깨물어 먹는 풍습으로, 부럼을 깨면 1년 동안 치아가 튼튼해지고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했지만, 현대에서는 그런 의미보다는 견과류의 다양한 불포화지방산 섭취로 성인병을 예방하고, 두뇌활동을 개선한다는 측면의 건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번 깨무는 것보다 단번에 큰 소리가 나게 깨무는 것이 좋다고 하며 첫번째 깨문 것은 마당에 버린다. 깨물 때 "1년 동안 무사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기원한다.
오곡밥 주요한 5종의 곡물 또는 모든 곡물을 총칭하는 말. 쌀·보리·콩·조·기장을 오곡이라 부른다. 진채(묵은 나물)식 陳菜食(진채식)은 '대보름 나물'을 가리키는 말. 陳菜는 '묵은 나물'이라는 뜻이다. 갖가지 말린 나물을 잘 무르도록 삶은 뒤, 기름에 볶거나 푹 끓여서 즐기는 대보름 別味(별미)이다. 陳菜를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나물은 사람이 기른 菜蔬(채소)나 저절로 난 山野草(산야초)를 맛나게 만든 飯饌(반찬)을 가리킨다. 익힌 나물인 熟菜(숙채)와 생나물인 生菜(생채)를 통틀어 가리키지만 보통 熟菜를 나물이라 한다. 陳菜食은 시래기,무,호박고지,박고지,가지오가리,버섯,고사리,고비,취 아홉 가지를 장만한다. 대보름 나물 아홉가지 나물에는 콩나물, 무우나물, 숙주나물, 시라기나물, 도라지나물,취나물 더덕나물, 호박나물, 냉이나물, 시금치나물 등으로 아홉가지를 마련하면 된다.
귀밝이술 음력 정월 보름날 이른 아침에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고 해서 마시는 술 귀밝이술은 데우지 않고 차게 마시는데, 이를 마시면 귀가 밝아질 뿐만 아니라 1년 동안 좋은 소식을 듣는다고 한다. 귀밝이술은 부녀자도 마신다. 지역별로 행해지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경기도는 정월 대보름날 이른 새벽에 술을 조금씩 마시는데 이때 술을 데우지 않고 어른·아이·부녀자들에 이르기까지 조금씩 마신다. 이렇게 하면 귓병에 걸리지 않고 귀가 밝아지며 좋은 소식을 듣게 된다고 한다. 전라남도에서도 역시 보름날 아침에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져 잘 듣게 된다고 하여 남녀노소가 모두 조금씩 마신다. 귀밝게'라고도 한다. 맑은 술인 청주여야 귀가 더 밝아진다고 한다. 강원도에서는 보름날 아침에 귀밝이술을 남녀 구별없이 1잔씩 마시는데, 귀가 어두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해에 좋은 소식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찬 술을 마시며 그 양은 1잔으로 한정된다.
정월대보름 민속놀이로 가득한 2008 임진강 민속축제 사진
쥐불놀이 쥐불놀이는 논이나 밭두렁에 불을 붙이는 정월의 민속놀이로 음력 정월 첫 쥐날(上子日), 밤에 농가에서 벌이는 풍속이다. 해가 저 물면 마을마다 들로 나가 밭둑이나 논둑의 마른 풀에 일제히 불을 놓아 태운다. 이렇게 하면 1년 내내 병이 없고 재앙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날 쥐불을 놓는 까닭도, 잡초를 태움으로써 해충의 알이나 쥐를 박멸하여 풍작을 이루려는 뜻이 담겨 있다. 이 쥐불의 크기에 따라 풍년이나 흉년, 마을의 길흉화복을 점치기도 하는데, 불의 기세가 크면 좋다고 한다. 자정이 되면 각자 마을로 되돌아가는데 질러 놓은 불은 끄지 않는다.
횃불싸움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하는 민속놀이의 하나. 마을 청소년들이 패를 갈라 진을 치고 있다가 달이 떠오른 후 농악대의 풍악에 맞춰 횃불을 밝혀 들고 편싸움을 하여 승부를 겨루는데, 진 편은 그해에 흉년이 든다고 한다. 양동마을 줄다리기 두 팀이 줄의 양쪽 끝을 각각 잡고 서로 상대를 끌어당겨 중앙선을 넘도록 하는 체육경기한국에서는 전래 민속놀이의 하나로서 대개 정월 대보름에 즐겨 놀았으며, 지방에 따라 5월 단오나 7월 백중에 행하기도 했다. 한 마을에서 동서 양편으로 나뉘어 집집마다 볏짚을 모아서 새끼줄을 꼬고, 그 줄을 다시 모아 마을사람이 모두 함께 큰 줄을 꼬아 만든다. 줄머리에는 도래라는 고리를 만들어 양편의 고리를 연결해서 그 속에 비녀목이라 부르는 통나무를 꽂고, 양편에서 줄을 당긴다. 줄다리기를 하기 전에 양편의 줄을 마주보게 해놓고 줄고사를 지낸다. 동서 양편으로 나눈 줄을 암줄과 수줄로 구분하며 각 편의 줄패쟁이를 뽑아 대표로 삼고 농악에 맞추어 줄을 당긴다. 보통 암줄이 이기면 풍년이 들고 수줄이 이기면 흉년이 든다고 했는데, 지방에 따라 이기는 편이 풍년이 든다고 하기도 한다. 줄다리기가 끝난 줄은 칼이나 톱으로 베어다가 자기 논에 던져두면 풍년이 든다는 속신도 있고, 또는 아기를 낳지 못하는 여자가 줄을 삶아먹으면 아기를 낳게 된다고도 한다. 이는 줄다리기의 목적이 생산의 풍요에 있다는 증거이다. 이 놀이의 큰 목적은 한 해가 시작되는 때 마을사람들이 단결하여 줄을 꼬고 당기는 가운데 공동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