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시조] 단란
단란
아이는 책을 읽고 나는 수를 놓고
심지 돋우고 이마를 맞대이면
어둠도 고운 애정에 삼가한 듯 둘렸다.
―이영도(1916~1976) 오랜만에 꺼내보는 말이다. 단란, 그 말에서는 정갈한 속옷이나 따뜻한 밥상 혹은 풀 잘 먹인 옥양목 호청 같은 게 떠오른다. 그런 온기의 '단란'이 불현듯 그리워진다.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갈수록 적어지는 탓일까. 아니면 시끄러운 소음 불빛 속에서 전자기기를 늘 장착한 채 '심지 돋우'는 시간도 없이 사는 분주한 일상 때문일까.
어머니와 딸만으로 충분한 듯, 시 속의 저녁 한때가 퍽이나 오붓하다. 이 다사로운 모녀가정을 두고 누가 결손 운운할 수 있으랴. 이제는 가정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으니, '결손'이란 낙인도 폐기했으면 싶다. 누군가의 부재보다 중요한 것은 같이 살고 싶은 사람끼리 가정을 이루는 것. 그래야 진정한 단란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책 읽는 아이와 이마 맞댄 저녁이 잘 묵은 묵화(墨畵) 같은 단란한 정경이다. 고요한 어둠 속으로 가만히 고개를 숙인다. (조선일보 5월 8일) 정수자 시조시인 |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슴으로 읽는 시조] 오동꽃 (0) | 2012.05.22 |
---|---|
[가슴으로 읽는 시조] 내가 나를 바라보니 (0) | 2012.05.15 |
[가슴으로 읽는 시조] 셔? (0) | 2012.05.01 |
[가슴으로 읽는 시조] 시암(詩庵)의 봄 (0) | 2012.04.24 |
[가슴으로 읽는 시조] 내 사랑은 (0) | 201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