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한시] 낙지론 뒤에 쓴다. 題樂志論後(제악지론후)
순암(順庵) 안정복(安鼎福·1712~1791) ▲일러스트 : 송준영
순암(順庵) 안정복(安鼎福·1712~1791)이 전원에서 사는 멋을 노래했다. 자유롭게 사는 행복을 노래한 중장통(仲長統)의 '낙지론'이란 글 뒤에 써서 자신의 삶도 그보다 못하지 않다는 행복감을 표현했다. 시골에 사는 옹색한 인생이라고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조물주가 하는 대로 내버려둬도 다 괜찮다. 가만있어도 숲과 꽃, 못과 폭포가 눈을 즐겁게 하고, 부르지 않아도 새와 물고기가 찾아오고 산과 물이 집을 꾸며준다. 그렇게 사는 것만도 충분한데 마음 가는 대로 책을 꺼내 읽는 여유로움까지 누린다. 세상에서 누리는 청복(淸福)이란 이런 게 아닐까 싶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출처] 조선닷컴 |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강에서 (0) | 2015.03.04 |
---|---|
갑산과 헤어지고 (0) | 2015.02.25 |
상고대 (0) | 2015.02.09 |
어부가 (0) | 2015.02.02 |
소회를 쓰다 (0) | 201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