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동시] 우리 할머니
편지 대신 메일이나 메시지로 소통하는 시대이지만, 컴퓨터에 어두운 시골 할머니에겐 편지가 반갑고 반가운 존재다. 할머니는 손자가 보고 싶어 견딜 수 없었다. 어린 손자의 편지를 받았다. 편지를 쓸 줄 알다니, 싱긋 웃음이 고인다. 또 편지가 왔다. 아이고, 기특해라. 웃음이 더 짙어졌다. 또 편지를 보냈네! 많이도 컸구나, 왈칵 기쁨의 눈물이 주름살을 적신다. 정도 푸짐한 할머니시지. 할머니 눈물은 값지다. 커가는 손자에 대한 대견함과 고마움, 간절한 그리움이 담겨 있어서다.
김현승 시인은 '눈물'을 '흠도 티도/ 금가지 않은' 것, '가장 나아종 지닌 것도 오직 이뿐'이라며, '웃음을 만드신 후에/ 새로이 나의 눈물을 지어 주시다'라고 노래했다. 할머니의 눈물도 손주에게 답으로 보내는 뜨거운 순수이다.'우리 할머니'들은 그러하다. 이런 걸 손주들도 알아야겠지….
박두순 동시작가 |
'詩, 詩調. 童詩, 漢詩 > 가슴으로 읽는 동시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마 선생님 (0) | 2017.05.10 |
---|---|
파마머리 돌부처 (0) | 2017.05.03 |
꽃 식당 (0) | 2017.04.19 |
사과하는 방법 (0) | 2017.04.12 |
모범 공장을 찾아라 (0) | 2017.04.05 |